정말 끝날 거 같지 않았던 나의 첫 프로젝트가 임시?로 1.0.0을 찍고 출시하였다 어엉ㅇ 작년 가을부터 첫배포 얘기가 나온 이후로 엄청난 압박에 시달렸는데? ㅋㅋㅋㅋ ㅠㅠ 드디어 나오니 아쥬 기쁘고 이제 진정 헬게이트가 열린 것인가 걱정이 앞서기도 하고 아주 복합적이다 리액트 처음만지면서 투두리스트 헤매던 게 엊그제같은데 ㅠㅠ 암턴.. 배포직전까지 QA…
본 내용은 인프런에서 캡틴판교님의 타입스크립트 강의를 듣고 정리한 것입니다. 유틸리티타입(제너릭타입) - Partial 특정 타입의 일부분을 부분적으로 만족할 때 사용한다(optional처럼 사용한다).
본 내용은 인프런에서 캡틴판교님의 타입스크립트 강의를 듣고 정리한 것입니다. 유틸리티타입(제너릭타입) Pick 특정 타입에서 필요한 부분을 뽑아쓸 때 사용한다. Omit 특정 타입에서 사용할 것을 제외하고 쓰겠다!! Pick과는 반대되는 개념이다.
Warning: Failed prop type: Property … of component … has invalid PropType notation inside arrayOf. Object literal may only specity known properties, and ‘order’ does not exist in type ‘Validator‘. …
파라미터에 라고 타입을 지정해줬는데도 이벤트 타겟에 checked 속성이 없다고 에러가 발생했다. Property “checked” does not exist on type “EventTarget” console.dir까지 찍어보면 분명히 event.target요소에 checked가 있는데 왜… 에러가 나지??하고 구글링해보니 event target은 …
일급함수 : 값으로 다룰 수 있다. 변수에 담을 수 있다. 함수의 인자로 사용될 수 있다. 함수의 결과로 사용될 수 있다. 고차함수 : 함수를 인자로 받아서 실행해주는 함수 함수를 만들어 리턴하는 함수(클로저를 만들어 리턴하는 함수) es6에서의 순회
react-router-dom의 Link컴포넌트와 a태그 차이 a태그 : 페이지를 새로 불러와 애플리케이션이 가지고 있던 상태를 모두 날림. 렌더링 초기화. Link컴포넌트 : 내부는 a태그로 되어있지만 페이지 전환이 되지 않도록 설계되어있음. 페이지 전환대신 어플리케이션이 유지된 채로 HTML5 History API로 브라우저의 주소만 변경/ 새로운 페…
타입가드 타입 가드는 스코프 안에서의 타입을 보장하는 런타임 검사를 수행한다는 표현식(공식문서 설명), 내가 이해하기론 타입 안에 있는 속성의 유무를 확인하고 이용하기 위한(..) 것이다.
타입추론 타입스크립트가 코드를 해석하는 것.
제네릭 타입제한 extend를 통해 확장하기 keyof를 통해 제한하기